

변속기

표준형
감속 원리(S - H 형)

표준형
감속 원리(S - V 형)

표준형
DIMENSIONS
型式 | 重量(kg)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
SS | 26 | 82 | 120 | 62 | 282 | 35 | 72 | 110 | 144 | 49.5 | 156 | 255 | 310 | 335 |
MS | 43 | 124 | 140 | 80 | 378 | 47 | 111 | 90 | 127 | 67 | 176 | 310 | 415 | 445 |
1S | 61 | 131 | 164 | 90 | 435 | 54.5 | 117.5 | 120 | 155 | 77.5 | 200 | 355 | 475 | 503 |
2S | 90 | 143 | 190 | 105 | 485 | 69 | 45 | 140 | 180 | 95 | 240 | 430 | 535 | 571 |
3S | 139 | 187 | 230 | 130 | 592 | 89.5 | 166 | 188 | 230 | 117.5 | 285 | 520 | 640 | 708 |
4S | 282 | 218 | 304 | 160 | 740 | 110 | 210.5 | 228 | 295 | 137.5 | 365 | 640 | 820 | 885 |
5S | 350 | 262 | 356 | 190 | 880 | 120 | 241 | 280 | 337 | 160 | 440 | 760 | 960 | 1,020 |
6S | 800 | 280 | 450 | 235 | 1,100 | 150 | 302.5 | 340 | 420 | 195 | 555 | 945 | 1,180 | 1,250 |
型式 | N | O | P | Q | R | S | T | U | V | O` | D` | a | b | ?? ???? | |
---|---|---|---|---|---|---|---|---|---|---|---|---|---|---|---|
H | V | ||||||||||||||
SS | 12 | 97 | 167 | 10 | 11 | 155 | 186 | 210 | 14 | 97 | 294 | 5 | 17 | 1 | 0.8 |
MS | 20 | 107 | 204 | 15 | 14 | 184 | 230 | 272 | 19 | 144 | 398 | 6 | 22 | 2 | 1.6 |
1S | 25 | 125 | 227 | 15 | 14 | 202 | 250 | 287 | 24 | 156 | 460 | 7 | 28 | 3.6 | 2 |
2S | 33 | 146 | 257 | 15 | 18 | 224 | 275 | 314 | 28 | 176 | 518 | 8 | 32 | 4 | 2.6 |
3S | 35 | 178 | 307 | 15 | 22 | 272 | 332 | 383 | 32 | 222 | 627 | 10 | 37 | 6 | 5.5 |
4S | 38 | 203 | 390 | 20 | 22 | 352 | 430 | 437 | 38 | 256 | 778 | 12 | 44 | 14 | 8.5 |
5S | 40 | 240 | 448 | 28 | 24 | 408 | 550 | 607 | 44 | 302 | 925 | 12 | 50 | 18 | 13.5 |
6S | 60 | 315 | 576 | 30 | 32 | 510 | 670 | 737 | 58 | 395 | 1,070 | 18 | 67 | 31 | 24 |
변속 원리
P.I.V 변속기의 변속원리
P.I.V 변속기의 원리는 정속회전하는 입력축에 일정변속비안에서 출력축의 R.P.M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원하는 회전 속도의 위치에 둘 수가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입력축과 출력축에 각각 2개의 BEVEL, DISC가 평행을 이루며 위치하고 있어 이 2쌍의 DISC를 특수 SLATS CHAIN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변속시에는 컨트롤핸들을 좌, 우로 돌려줌에 따라 입력축의 디스크 간격을 조절하여 원하는 속도를 자유자재로 얻을 수가 있습니다.
축의 회전방향도 좌우 어느 쪽이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통상 1대의 변속기를 설치하지만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계의 사용목적에 따라
감속기를 1단이나 2단으로 직렬형을 제작하여 작업의 공정관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설계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원격자동조절장치를 설치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변속기 선정
사용계수
사용 상태 | 1일 사용시간 | |
---|---|---|
10시간 이내 | 10시간 이상 | |
부하변동이 적고 기동정지 회수가 적다 | 1.0 | 1.33 |
부하변동이 많고 기동정지 회수가 많다 | 1.33 | 1.67 |
연속 충격 부하가 작용될 경우 | 1.6 | 0.9 |
변속기 선정
사용계수
모터
3.7KW4P 1750r.p.m
피동기
벨트콘베어 13시간 운전
피동기 소비마력
MAN = 3.2KW = 1600r.p.m인 경우 MAN = 1.8KW = 400r.p.m인 경우
step01 변속기 : 1600:400 = 4:1
step02 1일 13시간 운전 : 하중계수 1.33
step03
등가마력 : 요구마력 X 하중계수
= 3.2KW X 1.33 = 4.3KW
430r.p.m - 3.2KW
step05
N (출력축 r.p.m) = 1600 ~ 400 r.p.m 이 되기 위해서는
정속축 (입력축) r.p.m = 860 X 1600/172 = 800r.p.m이 됩니다.
step06
정속축 r.p.m이 규정치보다 낮아지면 전달마력이 비례하여
낮아지므로 다시 마력을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M AX = 5 X 800 / 860 = 4.65 > 4.3KW 이므로
3H 4:1 정속축 r.p.m 으로 하면 적당합니다.
변속기 선정
무단변속기 선정시 다음 사항을 검토하십시오.
최고속 또는 최저속에 있어서의 사용마력 또는 그 중간속도에 있어 TORQUE가 최대가 될 때는 그 때의 회전수와 마력
변속범위 또는 피동기계의 압력축 최고 및 최저 회전수
변속기와 피동기계의 중간에 감속기가 있으면 그 감속비
가동 정지 하중의 성질, 특히 SHOKING의 유무 또는 빈도수
1일 작업시간
희망형과 축배치 (축과 핸들의 기본기호 참조)
변속기 선정
입출력에 취부할 PULLY SPROCKET, GEAR의 최소피치원직경
SPROCKET GEAR의 최소피치원직경 : 2.5 X 입, 출력샤후드외경
PULLY의 최소피치원직경 : 4 X 입, 출력샤후드외경
변속기 선정
마력 선정 계산법

변속기 선정
변속축 최고, 최저 회전수 관계

변속방법
변속방법
변속은 반드시 회전중에 실시해야 합니다.
변속 HANDLE을 돌려 바늘이 0에 있을떄는 1:1이므로 R측이나 L축으로 돌려주면 BEVEL DISC가 움직여 변속이 이루어집니다.
바늘이 R이나 L측에 최대로 달하였을 때는 물한 핸들 조작을 하지 마십시오. CHAIN 탈락의 원인이 됩니다.
본제품에는 작업자의 실수 방지를 위해 핸들축에 MAX 고정핀을 설치하였습니다.

변속방법
급유 (윤활유의 교환)
가동전에 반드시 하기유종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주유구는 상카바 또 공기순환용 마개를 빼서 넣으십시오.
상카바라를 열때는 주위의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게 박킹이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오일게이지는 정지중의 유면을 표시합니다. 운전중에는 유면이 상하로 흔들리기 때문에 그 유면을 확인할 수 있는 점을 찍어주면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내부의 급유는 회전에 의하여 분산되어 각 부분에 전해지게 됩니다.
회사명 | 대한석유공사 | 호남정유 | 극동쉘석유 | ||||
---|---|---|---|---|---|---|---|
OIL 명 | 하모니 | 멀티퍼포스투반이퍼 | 텔로스 | ||||
하중의 정도 | 경 | 중 | 경 | 중 | 경 | 중 | |
주위온도 : 10 이하 | 53 | 61 | 80 | 90 | |||
주위온도 : 10 이하 | 61 | 77 | 80 | 90 | 27 | 27 | |
주위온도 : 10 이하 | 77 | 97 | 80 | 90 | 27 | 27 |
변속방법
설치와 입 · 출력의 결정
정기 검사와 오일교환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축심, 수평, 기초를 완전히 하여 설치 하십시오.
입·출력 축은 어느쪽이나 상관이 없으나 핸들 빙대 쪽의 축을 출력축으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입력 동력 전달은 기어나 V 벨트 등의 일반적인 방법은 모두 가능하고 측압하중이 큰 것은 별도의 스러스크 베어링을 설치하십시오.
취급되는 기계가 진동이 심할 경우는 수직형(S-V)보다는 수평형(S-H)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기계 운전을 할 수가 있습니다.
변속방법
표준형 축배치 양식

형 | BELL BEARING | THRUST BEARING | OIL SEAL |
---|---|---|---|
SS | 6302 | 51106 | TC 1528 |
MS | 6304 | 51109 | TC 2035 |
1S | 6305 | 51109 | TC 2545 |
2S | 6306 | 51111 | TC 3044 |
3S | 6307 | 51113 | TC 3558 |
4S | 6308 | 51115 | TC 4062 |
5S | 6309 | 51116 | TC 4570 |
6S | 6314 | 51126 | TC 7092 |

형 | A1 | A2 | A3 | A4 | A5 | A6 |
---|---|---|---|---|---|---|
피치 | 19 | 25 | 28 | 36 | 36 | 44 |
폭 | 30.7 | 38 | 44.5 | 59 | 70 | 77.6 |

변속방법
취급주의 사항
최고의 수명을 유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운전방법을 숙지하고 정기적인 검사를 실시하는데 있습니다.
정기검사는 CHAIN의 신축을 조절하는 걱솨 OIL의 교환, 각부의 정상유무를 확인하는 것 등입니다.
제 1회 검사는 가동시작 후 최초 300시간에 달하면 실시하고 그 이후부터는 1500시간마다 정기검사를 합니다.
정지중에는 절대로 핸들을 돌려서는 안되며, 돌릴시에는 손으로 축을 회전시켜야 합니다.
DISC는 특수합금 공구강으로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나 스랏치체인은 소모품으로 항상 예비품을 준비하여야 합니다.
체인 사용법
체인조절 방법
변속기를 장시간 가동하다보면 CHAIN이 헐거워집니다. 너무 늘어진 상태이거나, 팽팽한 상태로 가동을 계속하면
회전비가 부정확하고 CHAIN과 BEVEL DISC의 수명이 단축되므로 정기검사마다 텐숀조절기어를 돌려서 CHAIN을 조절하여 줍니다.
텐숀조절기어 고장나사를 풀고 텐숀조절기어를 다라이버 등으로 눌러 돌려주면 됩니다.
이때 손으로 BEVEL DISC의 축을 돌려주면서 텐숀조절 기어를 돌려주면 원활히 조절 됩니다.

체인 신축 조절량
형식 | SS | MS | 1S | 2S | 3S | 4S | 5S | 6S |
---|---|---|---|---|---|---|---|---|
치수(mm) | 15 ~ 20 | 20 ~ 25 | 20 ~ 25 | 25 ~ 35 | 25 ~ 35 | 30 ~ 40 | 30 ~ 40 | 35 ~ 45 |
체인 조절량과 성능과의 관계
체인조절량 | 효율 | 미끄럼율 | 회전정밀도 |
---|---|---|---|
규정치내 | 최고치 | 적다 | 좋다 |
규정치보다 좋다 | 서서히 저하 늘어남이 극대일떄는 급감 |
점차 증가 | 불균형이 서서히 증가 |
규정치보다 팽팽할 때 | 서서히 저하 | 규정치 일대보다 적어진다. |
좋다 단, 발열 소음이 증가하고 체인의 내구성이 떨어진다. |
변속방법
체인 교환방법
1. 변속기를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변속핸들을 돌려 BEVEL DISC를 1:1 상태로 만든다.
2. 배유구를 열어 OIL을 빼고 상카바를 연다.
3. 변속기를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체인 연결부분인 PIN을 찾는다.
4. 체인조절기어를 돌려서 체인을 완전히 풀어준다.
5. 연결핀을 뺀 다음 한쪽 끝을 철사나 와이어로서 묶은 다음 새로운 체인과 낡은 체은을 조립 다시 연결핀을 끼운다.
6. 낡은 체인을 잡아당겨서 체인 연결 부분이 나오면 PIN을 다시 빼고 낡은 체인을 빼내 버린다.
7. 새로운 체인을 잡아당겨서 PIN을 끼워 조립한다.
8. 조립이 끝난 다음에 사후드를 서서히 돌리면서 체인조절기어를 돌려서 규정치내로 TENSION 조정을 한다.
9. 배유구를 막고서 OIL을 채우고 (OIL GAUGE H위치까지) 상카바를 조립한 다음 가동을 한다.
